(7). 상황별로 알아보는 가족 인연 - 1). 부모와 함께 지내는 30대 자식
부모가 자기 혼자 결정한대로 자식을 끌고 가는 것이 바른 존중이 아닙니다. 뭔가 결정할 때, 자식에게 묻고 의논해서 결정하는 것이 존중입니다. 아무리 톤을 부드럽게 해도 자식의 의견이 들어가지 않은 것은 부모가 자식을 끌고 가는 것입니다. 자식과 충분히 의논해서 자식이 스스로 이해해서 결정한 것이 아니면, 부모의 욕심이 들어간 결정이라 보면 됩니다. 부모가 자식을 바르게 못 키운 죄는 엄청나게 무섭습니다. 자식이 다 커서 사회에서도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더 큰 문제는 자식들이 이 문제들을 들고 다시 부모에게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내가 자식을 바르게 키우는 의무를 바르게 하지 못해 내게 다시 어려움이 돌아오는 것입니다.
혈육인연은 서로가 좋아서 온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의무를 해야만 하니 가족인연으로 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서로를 위해 살면서 의무를 해야하는데, 내 욕심으로 사니 의무는 당연히 못하고 싸움이 되니 문제가 됩니다. 30대에는 형제와 친해지려하지 말고, 내 힘을 키워야 합니다. 내 힘을 키워야지 다른 곳에 신경 쓰면 안 됩니다. 언젠가 내가 힘을 갖추어서 형님을 바르게 보리라 하고 내 힘을 갖추고 내 공부를 해야하는 것이 30대입니다. 가족과 만나지 마세요. 30대는 그렇게 견뎌내야 합니다.
부모는 자식이 21세가 된 이후부터는 끌어안지 말아야 합니다. 이는 나의 자식이 아니라, 이 대자연의 자식입니다. 나는 이 인연에게 의무를 행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우리는 인연을 만나서 내 의무를 행해기 위해 만나는 인연이 있고, 만나서 의무를 넘어서 그 사람을 위해서 하는 인연이 있습니다. 주어진 의무보다 넘어서 더 이롭게 한 것이 있다면 그 복은 다 내게로 옵니다. 뭐든지 노력해서 이루었다는 것은 70%까지 했다는 것입니다. 그 이후에는 자연이 다 알아서 해줍니다. 우리는 자연의 자식들이기 때문이고, 자연이 우리에게 해줘야할 30%의 몫이 있기 때문입니다.
자식이 20대인데, 자식의 습관을 교정할 때는 자식이 경제가 없으면, 경제를 줄 때 버릇을 고치도록 조건을 걸어가며 줘야 합니다. 그냥 어렵다고 물질을 줘버리면 아 자식은 걷잡을 수 없이 어려운 길로 내몰리게 됩니다. 경제가 어렵다는 것은 분명한 이유가 있으니, 그것을 찾아야만 합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이는 이 시대에 맞지 않는 말입니다. 이 말이 맞는 시대가 있었지만, 이 시대에는 거짓말이고 잘못된 것입니다. 청춘은 재미있고 즐겁고 희망적이어야 합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실패한 사람들에게 위안은 될지 모르겠으나, 실패는 대자연에 한번 낙인이 찍히는 것입니다. 잘못 성장했으니 실패를 합니다. 실패는 새로 공부하거라의 대자연의 뜻입니다.
30대가 되면 부모한테 다 못 배웠더라도, 부모의 역할은 끝난 것입니다. 이제부터는 내가 아직 좀 미숙하더라도 혼자서 스스로 성장해가면서 채워가면서 사회를 펼쳐나가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만 너가 모자란 것도 사회에서 줄 것입니다. 사회 인연들을 30대에 줄텐데, 이 인연들은 전부 다 너를 위해서 주는 인연들입니다. 사회 선배들이 전부 멘토들입니다. 멘토가 내 앞에서 잘난 척도 할 것이나, 이것도 내 공부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내게 준 인연들은 0.1mm도 틀리지 않게 네게 필요한 것을 다 준 것입니다. 이런 인연과 환경들을 잘 소화하면서 공부로 받아들이면서 축적을 해 나갈 때, 30대 사회교육을 스스로 받게 되는 것입니다.
30대가 되었으면 부모한테 의지하지 마세요. 부모한테 의지하면 네게 큰 시련이 옵니다. 어쩔 수 없이 빚을 졌다면, 무조건 갚아야 합니다. 이를 안 갚으면 너의 인생이 어려워 집니다. 지금은 도움을 받아서 열심히 노력해서 나중에 우뚝 성장해서 갚으러 찾아갈 줄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그 분에게 내가 즐거움을 드려야 합니다. 30대에는 절대 부모에게 도움 받지 말고, 도움을 받더라도, 빌린 것을 다 갚아야지, 없는 것으로 무산시키지 마세요. 우리가 어른들을 즐겁게 하면 어른들에게 엄청난 힘이 만들어집니다. 그러면서 또 어른들에게 에너지를 얻었을 때, 내 앞의 길이 더 보이게 됩니다.
어른을 찾아뵐 때는 감사합니다 할 수 있을 때 뵙는 것이지, 내가 어려울 때는 어른 찾아뵙는 것이 아닙니다. 어른들에게 의지해서 어른들 낙심시키지 마세요. 내가 스스로 이겨내야 합니다. 이런 불굴의 정신을 가져야 내 앞 길이 열립니다. 내가 내 힘을 갖추어야만 이 사회에 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힘은 경제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질량을 갖추어서 이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내게 많은 사람들의 인연이 닿게 됩니다.
그런데 나는 돈이 하나도 없을 수 있습니다. 대자연에서 이렇게 많은 인연을 줬는데, 내가 돈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 말이 되나요? 내 인연들에게 돈이 수십억, 수백억 있습니다. 알고보면 내가 얼마나 부자인데 나는 한푼도 없다고 하나요? 나한테 인연을 줬는데, 인연을 꿔다논 보릿자루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귀한 분을 줬는데, 그 분들과 지적인 활동을 하면서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가 어마어마한데 왜 그것을 못보고 꿔다놓은 보릿자루마냥 옆에 두고만 있습니다. 이 환경을 바르게 운용해서 쓰지 못하는 그 사람이 바로 나인 것입니다. 경제의 힘을 사람 인연을 통해서 함께 네게 주지, 돈만 벌었다고 경제라 생각치 마세요. 돈은 언제든지 뺏길 수 있습니다. 인연과 함께 연결되어 있어야 경제입니다. 내게 인연을 줄 때는 이 분들을 잘 운영을 하고 이 분들과 잘 관계를 해서 그 분들이 갖고 있는 모든 지식과 힘을 내가 다 써낼 수 있을 때, 이것이 실력자이고 쓰는 만큼 나는 부자임을 알게 됩니다.
우리 젊은이들 의지하려고 드는 이 버릇을 버려야 합니다. 내 옆에 한 사람의 인연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배워야 합니다. 인연들을 서로 존중할 때 그 힘을 배가로 쓸 수 있습니다. 금방 내게 돈을 준다해서 이것을 재산으로 생각치 마세요. 사람 한 사람 한 사람이 진정한 내 재산입니다. 앞으로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는 사업이 펼쳐질텐데, 의지하려는 나약한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아무리 주위에서 좋은 말을 하던 나쁜 말을 하던 신경쓰지 말고, 내 힘을 갖춰야 합니다. 어떤 말이든 주위의 말은 자기 논리이고 자기 생각입니다. 나는 내 힘을 갖춰야만 그 사람들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어서 성공한 사람이 되니, 이제 이런 소리에 귀 기울지 마세요. 독자적으로 성장할 때는 내가 냉철하면서 성장해야 합니다. 내 옆에 형제한테 흔들리면 내 갖춤이 모자란 것입니다. 30대의 젊음은 우리 인생에 최고 중요한 시간입니다. 기초를 잘못 배워서 그 정에 흔들리면 안 됩니다. 그 정은 옳은 것이 아닙니다. 형제도 냉철하게 보면서 내가 성장을 해야 하고, 성장한 후 형제가 성장 못했으면 내가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형제들의 인연법입니다.
형제도 사회 구성원으로 봐야지 우리 가족으로 보면 안 됩니다. 우리 가족으로 보면 공인이 아닙니다. 이 사회가 전부 내 형제들입니다. 잔정을 갖지 마세요. 공인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해서 100% 냉철해지란 뜻이 아닙니다. 30%를 넘지 말라는 뜻입니다. 열심히 노력하면 70%는 내 앞길을 내 노력으로 만질 수 있습니다. 홍익인간들이 인류의 길을 전부 열어주게끔 키우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그 일을 해 낼 때, 하나님 공사하시는데 아주 우리가 보람있게 해드리는 것도 우리의 몫입니다. 정에 끌리지 말고 큰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요약
부모는 자식의 의견을 존중하며 함께 의논하여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일방적인 결정은 존중이 아니라고 강조합니다. 가족 관계는 의무에 기반해야 하며, 30대에는 개인의 힘을 키우고 가족과의 관계보다는 자기 성장에 집중해야 합니다. 자립을 통해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성장해야 하며, 부모에게 의존하면 큰 시련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인연을 소중히 여기고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경제적 및 개인적 성장을 이루어야 하며, 실패는 자연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청춘은 희망적이고 즐거워야 합니다. 형제 관계도 사회적 인연으로 보고 냉철하게 대하며, 개인의 성장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어른반] 대자연 원리 > ⠀⠀2. 가족 인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 인연법 - 2. 가족 - (5). 상황별로 알아보는 가족 인연 - 3). 갈등으로 가족이 떠나갔을 때 (0) | 2024.12.11 |
---|---|
I. 인연법 - 2. 가족 - (5). 상황별로 알아보는 가족 인연 - 2). 가족과의 잦은 갈등 (0) | 2024.12.09 |
I. 인연법 - 2. 가족 - (5). 진정한 가족이란 (0) | 2024.12.09 |
I. 인연법 - 2. 가족 - (4). 조부와 손자관계 (0) | 2024.11.09 |
I. 인연법 - 2. 가족 - (3). 부부인연이란? - 2). 이혼이란 (0)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