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반] 대자연 원리/⠀⠀1. 인연법

1. 인연법 - (6). 세대별로 오는 인연들 - 5). 50대

Master_Lee 2024. 11. 16. 02:31
(6). 세대별로 오는 인연들 - 5). 50대

 

 

1. 인연법 - (6). 세대별로 오는 인연들 - 5). 50대

 

  50세가 되면 한국에서는 이를 지천명이라고 부릅니다. 쉰 살에 하늘의 명을 알다라는 뜻으로, 인생의 의미와 하늘의 섭리를 깨달아 인생의 방향을 이해하게 되는 나이를 의미합니다. 이때부터 진정한 내 인생이 시작됩니다. 즉, 50세가 되기 전까지는 공부하는 기간이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0세까지의 공부를 잘 했던 못 했던, 40대의 시험을 거쳐 50세가 되면, 이제부터는 시험의 결과에 따라 하늘에서 힘을 받습니다. 큰 공적인 뜻과 흔들리지 않는 이념이 있다고 시험결과가 나왔으면, 50세부터 이사람에게 하늘에 큰 힘과 큰 경제를 줍니다. 그동안 너가 세운 이념에 맞게 이제부터 진정한 너의 인생을 살아가라는 것이죠. 그동안 공부도 바르게 했고, 인연도 바르게 대했으니 함께 있는 인연이 많이 있습니다. 이제부터 큰 일을 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 뜻이 정말 높다면, 역사에 이름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공적인 뜻은 없고, 사적으로 나만을 위해 산다고 40대 시험결과가 나왔으면, 주변에 남아 있는 인연도 없고, 50세에 근근히 혼자 먹고 살 만큼의 힘만 줍니다.

 

 

  40대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던, 50세부터는 진정한 내 삶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생은 50부터입니다. 전반전이 끝나고, 후반전이 시작되는 것이지요. 재미삼아 우스개 소리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 대자연의 관점에서 내가 100% 내 실력으로 내 인생을 사는 때는 50부터입니다. 전반전은 내가 성장하기 위해 사는 삶이지만, 후반전이 되면 법칙이 바뀝니다. 후반전의 삶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이롭게 하느냐의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이 50세부터 내가 어떻게 사는가가 고스란히 나의 공적이 됩니다.

 

  40대의 시험을 잘 통과해서 50대에 큰 경제와 힘을 받을 때, 우리는 보통 사회에서 이를 '성공한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성공은 절대 인생의 목표가 될 수 없습니다. 인생의 과정인 것이죠. 이제부터 이 힘을 가지고 진정한 나의 인생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이 힘으로 많은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삶을 산다면, 이 사람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삶을 삽니다.

 

  우리가 부자를 볼 때, 아무리 돈과 힘이 많아도 이는 인기가 있을 뿐이지, 진심으로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존경심을 갖질 않습니다. 저렇게 되고 싶다는 감정이 들 수 있죠. 하지만 이 것도 부러움이지 존경심은 아닙니다. 진정 이 사람이 내 인생에 결정적인 큰 도움이 되었을 때, 그리하여 아무리 표현해도 감사함이 부족할 때, 이 때 나오는 에너지가 존경심입니다. 누가 아무리 크게 성공해도 그 사람이 인기를 얻을 순 있지만, 그 사람이 남들을 이롭게 한 노력이 없다면 단 한명에게도 존경심이 얻진 못합니다.

 

1. 인연법 - (6). 세대별로 오는 인연들 - 5). 50대

 

 

 

  하지만 이 힘을 갖고 개인적인 목적으로만 산다면, 우선 성공을 했으니, 인기는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공적인 신념을 놓고 개인적인 욕심에 타협하여 사적인 이유로 살기 때문에, 대자연이 점점 다시 힘을 걷어 가게 됩니다. 이런 사람들이 크게 성공했다가 다시 실패한 사람들입니다. 후반전에는 후반전의 룰로 게임을 해야 합니다. 후반전에도 전반전의 룰로 나만을 위해서 노력한다면, 실패하게 됩니다. 후반전은 내가 가진 힘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또 사회를, 또 나라를, 또 인류를 이롭게 하는가의 룰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의 삶의 진정한 목표는 '성공'이 아닙니다. 성공은 완성을 위한 과정이지요. 우리가 많은 사람들을 진정으로 이롭게 할 때, 그 때 비로소 나오는 에너지가 행복 에너지입니다. 돈이 많아 행복하다? 집을 사서 행복하다? 이것은 행복한 것이 아니라, 기분이 극도로 아주 좋은 것입니다. 좋은 것은 물질을 얻음으로부터 오기에 좋았다가 말았다가 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다이이몬드를 얻어서 행복해"가 아닌거죠. 시간이 지나 사라지기에 이는 행복이 아니라, "나는 다이아몬드를 얻어서 너무 좋아"가 맞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진정한 존경심과 감사함을 받게 될 때, 자연적으로 나오는 이 행복의 에너지는 좋은 느낌과는 다른 차원의 에너지입니다. 행복 에너지는 좋았다 말았다가 없습니다. 계속 우상향의 선을 그리고 더 행복해지고 더 행복해지는 길 밖엔 없습니다. 사적인 욕심으로는 느낄 수 없는 한 차원 높은 고등의 에너지이기 때문이죠. 이렇게 존경 받으면서 진정한 행복을 느낄 때, 우리는 인생을 바르게 산 것이고, 이것이 인생의 목적이며, 이렇게 50대 이후에 내 실력으로 진정 사회를 위하고, 남을 이롭게 하면서 산 만큼, 이 사람은 빛이 나게 됩니다. 이 사람을 '홍익인간'이라고 합니다.

 

 

요약
50세는 '지천명'의 나이로, 하늘의 뜻을 깨닫고 진정한 인생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40대까지의 시험을 통해 공적인 이념을 추구한 사람은 50세부터 하늘의 큰 힘과 자원을 받아 사회에서 큰 일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반면, 사적인 욕심만 추구한 사람은 최소한의 힘만 주어져 근근이 살아가게 됩니다. 50세부터는 진정한 공적 삶을 살며 사회를 이롭게 할수록 빛나는 삶을 살게 되며, 이를 '홍익인간'이라 부릅니다.

 

목차로 이동